Login Logout Link+ Admin Write

·lenoir / 어뮤즈(AMUSE)에 대해 알아보자

국내 최대 카메라 앱 '스노우'를 개발한 연쇄창업마(?) 김창욱 대표가 인스타그램을 이용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인 하트잇을 인수하면서 하트잇의 대표인 서수아와 합작으로 2018년에 만든 브랜드가 바로 어뮤즈다.

 

즉 그 뿌리는 본질적으로 코스메틱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는데, 하필 태생이 네이버에서 미친듯이 푸쉬해주는 김창욱 대표였다는 게 이번 글의 골자 되시겠다.

 

조만간 플랫폼 하나 더 만들겠다는 매의 눈빛

그는 떡잎부터 돈될만한 짓은 안 하고 플랫폼의 가치를 다짜고짜 크게 만드는 것에 어마어마한 능력(?)을 지닌 인물이었는데, 2007년부터 여행 전문 플랫폼인 '윙버스'(2014년 종료)와 소셜 커머스 플랫폼인 '데일리픽(티몬 인수)'을 창업하면서 일약 스타트업 업계의 스타덤에 올랐었다.

 

둘 다 작게 시작해서 적당히 키운 뒤 빠르게 손절해 큰 이익을 벌어들이자 그는 순식간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았었고, 아니나 다를까 얼마 뒤 그는 네이버의 자회사로 들어가 스노우를 개발해버린다.

 

ㅎㅇ

증강현실을 이용한 이 카메라 앱은 네이버의 자본을 통해 어마어마한 인기를 모았다. 이 인기가 얼마나 드높았느냐 하면 페이스북의 창업주인 마크 주커버그가 탐냈을 정도였다.

 

그 덕분인지 스노우의 가치가 상식적인 수준을 넘어버리면서 김창욱 대표의 어깨뽕을 키우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된다.

 

대충 이런 느낌

움직이는 미다스의 손, 창업하기만 하면 모조리 떡상으로 만들어버린 기이한 운빨에 그 스스로도 자부심을 느끼기 시작하는데, 이는 그가 "M&A(인수합병)가 아닌 직접 서비스로 성공할 것"이라는 언급을 하면서 확실히 드러났었다.

 

문제는 그가 미다스의 손이 아니라 원숭이 손이라는 걸 아무도, 심지어 본인도 눈치채질 못했다는 것이다.

 

이뤄지긴 이뤄지는 그 손

연쇄창업마라는 이명답게 창업에는 귀신같은 능력을 지닌 그였지만 자체 서비스로 시작한 스노우는 카메라 앱 특성상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을 만한 플랫폼이 아니였고, 이용자는 날로 증가하면서 서비스 유지와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막대한 투자금을 썼다. 투자금을 탕진하면 다시 투자금을 수혈하는 식으로 말이다.

 

그 공로로 인해 스노우의 누적 적자는 어느새 1500억을 돌파해버리는 기염을 토하는데(...), 이 정도는 쿠팡(누적 적자 3조)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지만 고작 카메라 앱 서비스치곤 감당하기 힘들어 보이는 적자폭이었다.

 

이에 따라 김창욱 대표는 '잼라이브'와 '제페토' 같은 서비스를 선보이며 자신의 건재함을 알림과 동시에 새로운 분위기를 유도했고, 나름 먹히는 듯 했다.

 

온라인 참여형 퀴즈쇼 플랫폼인 '잼라이브'

문제는 이 플랫폼들도 까놓고 보니 수익 모델이 없었다는 거다. 당연히 수익을 추구하지 않는 플랫폼 일수록 유저 친화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져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좋은 선택지가 없겠지만, 그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동력원을 오로지 투자로만 진행하고 있었으니 누가 봐도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껴앉고 사는 것 같았다.

 

근데 그 와중에 어뮤즈를 만든 거다.

 

그만 가

아마도 흡수합병된 하트잇의 서수아 대표 입김이 지대하게 작용했을 거다. 수익도 벌고 연계 사업도 늘리고...

 

근데 이런 연계성 없는 문어발식 플랫폼 사업은 거대 자본과 시장 인프라가 없는 한 유지하는 것이 애초에 불가능하거나, 순식간에 초전박살나거나 둘 중 하나였고, IT 업계 출신인 그가 코스메틱 시장에 대해 파악했을 리 만무하니 하트잇의 서수아 대표가 어뮤즈를 이끌며 수익을 만들어야 이치상 맞겠지만, 당연하게도 이듬해 20억 원 적자를 기록하면서 똑같은 노빠꾸 사업이었음을 증명하는데 그쳤다.

 

물론 사업 초기에 규모를 불려서 이익을 얻고자 한다면야 이 정도 영업적 손실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그래도 앞이 안 보인다. 어뮤즈 저렴이 브랜드잖아.

 

아닌데요?

그렇다. 어뮤즈는 저렴이 브랜드도 아니다. 근데 저렴이가 아니면 애초에 저런 전략 자체가 먹히질 않는다. 저 가격대면 근본이 넘쳐흐르는 맥이나 메이크업 포에버의 립 스테인을 산다. 돈 조금 더 보태면 아예 이바닥 삼천왕 중 하나인 입생로랑도 살 수 있다. 그렇다고 패키지가 예쁜가? 그것도 아니고. 근본은 있나? 그건 또 아니고.

 

세포라의 비제아르 같은 포지션을 노렸던 것 같기도 하지만 세포라 플랫폼에 기대하는 건 너무 큰 오판이라 할 수 있었다. 소비자는 결코 멍청하지 않으니까. 아마 지금쯤 처절하게 인스타와 블로그를 통해 마케팅을 때리고 있겠지만, 글쎄 그래 가지고 얼마나 팔릴지..

 

안사요 안사

아예 스노우랑 연계해서 파트너쉽 맺고 홍보든 판매든 했더라면 지금보단 상황이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내 생각이지만 지금이라도 가격을 낮추는 게, 아마 불가능하겠지만 어뮤즈를 살릴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 싶다.

 

뭐 어쨌든 코스메틱 시장에 온 것을 환영하며, 어뮤즈의 미래를 위해 기도해본다.